본문 바로가기

Forbes Korea

대한민국 50대 부자, 자수성가로 성공한 사람들 TOP19

산업 지형이 크게 변화하면서 전통 제조업 부자의 아성에 신세대 자수성가형 부자의 도전이 거세다. 포브스코리아가 선정한 2017년 한국 50대 부자의 40%가 자수성가형 부자로 나타났다. 



포인트1. 50대 부자 중 자수성가형 부자 19명

포브스코리아가 조사·선정한 ‘2017년 한국 50대 부자’의 특징은 자수성가형 부자의 선전이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키운(inherited and growing) 부자가 아니라 스스로 부를 일궈낸(self-made) 케이스다. 50대 부자 중 19명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15위 내에 권혁빈 스마일게이트 회장(4위), 김정주 NXC 대표(7위),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8위), 이중근 부영 회장(10위),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12위), 김범수 카카오 의장(14위),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15위) 등 7명이나 올랐다.


포인트2. IT산업의 자수성가형 부자들의 약진

올해 순위에서도 IT산업의 자수성가형 부자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부자 순위 4위의 권혁빈 회장의 재산은 1조원 이상 늘어나 6조7923억원을 기록했다. 1년 새 24.49%가 늘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23위)도 재산이 2800억원 넘게 늘어 1조6034억원을 기록했고,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34위)도 1700억원 증가해 1조2471억원이 됐다. 올해는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의장이 재산 1조5923억원으로 단박에 24위에 신규 진입하며 IT업계 스타 CEO의 명맥을 이었다. 5월 상장 예정인 넷마블의 시가총액이 최대 1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지분 24.47%를 갖는 방 의장의 주식가치도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부자 순위 7~8위로 치고 올라간다.


포인트3. 재산이 가장 많이 줄어든 부자 VS 가장 많이 늘어난 부자

지난해 재산 4조4701억원으로 7위에 올랐던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은 순위권 내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경우다. 주식가치가 반 토막이 나면서 전체 재산은 1조 8929억원으로 크게 줄었고, 순위도 15위로 떨어졌다. 오너가 출신은 아니지만 임 회장과의 인연으로 한미약품과 한미사이언스의 2대 주주로 올랐던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도 지난해 31위에서 올해는 순위권 밖으로 밀렸다.


늘어난 재산 규모도 이건희 회장이 4조2650억원으로 단연 1위였다. 재산이 30%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한 사람은 이 회장 외에 26위의 정몽준 현대중공업 대주주(38.3%), 27위의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32.28%), 38위의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36.05%), 46위의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30.88%) 등이 있다. 지난해 순위에 처음 진입했던 김병주 회장의 재산은 1조1135억원으로 1년 새 2700억원이나 늘었다.


포인트4. 처음 순위에 들어온 부자는 누구? 

함영준 오뚜기 회장(47위)과 조현상 효성그룹 사장(49위)은 이번에 처음 순위에 들었다. 함 회장은 창업주 함태호 명예회장이 지난해 세상을 떠나며 지분을 상속받아 최대주주가 됐고, 조 사장은 효성 지분을 계속 사들이며 지분율 12.21%로 2대 주주가 됐다. 김남정 동원그룹 부회장(19위), 구광모 LG 상무(48위), 권혁운 아이에스동서 회장(50위)은 순위권에 재진입했다.


포인트5. 최고령 부자 VS 최연소 부자

50대 부자 중 최고령은 이상일 일진·일진글로벌 회장으로 올해 79세(1938년생)다. 그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24.66% 늘어난 1조132억 원이다. 1973년 섬유사업으로 창업한 일진은 컨테이너 및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최연소 부자는 1978년 생(39세) 김범석 쿠팡 대표였다. 지난해에 이어 1조원이 넘는 재산을 기록했다. 순위 중 유일하게 경영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SK 일가 최기원 SK나눔행복재단 이사장도 꾸준히 1조2000억원대의 재산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렇다면, 50대 부자의 순위와 재산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