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국민 아이스크림 ‘부라보콘’의 소속이 변경된다고?

한여름의 더위를 식혀주는 데는 차갑고 달콤한 아이스크림만 한 것이 없지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아마도 어렸을 적 부라보콘, 누가바, 바밤바, 쌍쌍바를 안 먹어본 사람은 없을 거라고 생각돼요. 앞서 열거한 제품들은 모두 해태 제품인데요. 이제 해태 부라보콘은 빙그레 부라보콘이 된다고 해요. 빙그레가 해태아이스크림과 합병을 했기 때문이에요.

 

 

해태가 빙그레 품에 안겼다. 빙그레는 10월 5일 해태아이스크림 인수를 완료했다고 공시했다. 최종인수금액은 1325억원이다. 앞서 빙그레는 지난 3월 해태제과식품과 해태아이스크림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합 승인을 신청했다.

 

공정위는 심사 결과 9월 29일 빙그레의 해태아이스크림 인수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을 내렸다. 빙그레 관계자는 “해태아이스크림이 가진 친숙한 브랜드의 가치를 활용해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며 “해외 인프라를 활용한 수출 확대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빙그레가 인수한 해태아이스크림은 지난 1월 해태제과식품이 아이스크림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만든 회사다. 해태제과식품의 아이스크림 부문은 수년간 영업적자에 허덕였다. 매출은 2017년 1690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1507억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매해 10억원 안팎의 영업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해태제과식품은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제과사업 쪽에 역량을 집중하는 차원에서 아이스크림 부문을 떼어냈다. 해태제과는 아이스크림 매각 대금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제과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주력 사업에 더욱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1970년에 탄생해 반세기 동안 장수 브랜드로 군림한 ‘부라보콘’을 비롯해 ‘누가바’(1974년)와 ‘바밤바’(1976년) 등도 함께 적을 옮겼다. 다만 빙그레는 당분간 별도법인을 유지하며 해태아이스크림이라는 브랜드를 유지하기로 했다.

해태가 가진 브랜드 파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장수제품이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의 9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해태’라는 사명까지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해태 부라보콘’ ‘해태 쌍쌍바’ 등이 대표적인 예다.

빙그레 인수 후에도 ‘해태’ 이름표를 달게 됐지만 이들 제품에게는 빙그레가 벌써 세 번째 주인이다. 원주인인 해태제과가 2001년 외국 UBS컨소시엄에 매각된 이후 이를 2005년 크라운제과가 재인수해 해태제과식품으로 탈바꿈했다. 2017년 크라운제과는 크라운해태홀딩스로 전환하며 해태제과식품을 산하에 두고 아이스크림을 비롯해 제과와 냉동식품 사업을 진행했다.


맛동산·홈런볼·오예스 등 숱한 히트상품 출시


해태아이스크림 중 유난히 장수 브랜드가 많은 까닭은 회사의 역사가 그만큼 오래됐기 때문이다. 해태제과의 전신인 해태제과합명회사는 1945년 설립됐다. 이 회사는 일제 강점기 후 민간자본으로 만든 국내 최초의 식품회사로 꼽힌다. 일본 기업인 영강제과에서 일하던 직원 박병규, 민후식, 신덕본, 한달성이 광복 직후 회사를 인수해 회사를 차렸다. 해방 이후 미군정 시기부터 드롭스 사탕을 수입하는 동시에 연양갱과 카라멜을 생산·판매했다.

1959년 창업자 박병규가 경영권을 인수해 해태제과공업으로 상호를 바꾼 후 메도골드코리아(해태유업), 한국 산토리(해태식품), 감귤냉장판매(해태농수산) 등을 인수하며 식품기업으로 발돋움했다. 1972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으며 1978년에는 무역회사인 해태상사를 설립해 본격적으로 제과 수출에 나서기도 했다. 부라보콘을 비롯해 지금까지도 인기를 끌고 있는 맛동산(1975년)·홈런볼(1981년)·오예스(1984년) 등이 해태제과의 대표 히트상품이다.

해태제과는 식품회사에 머물지 않았다. 아버지 박병규에 이어 경영을 맡은 박건배 회장은 1986년 그룹 발전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식료품업의 비중을 줄이고, 사업다각화를 진행했다. 당시 롯데제과 등이 경쟁자로 뛰어들며 제과 시장이 과열되는 상황에서 식품제과사업만으로는 사업을 키우기에 역부족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해태그룹은 해태제과·해태음료·해태산업 등 식품 계열사 6개를 비롯해 해태상사·신방전자·해태타이거즈 등 4개의 비식품 계열사를 갖게 됐다.

해태그룹은 전자·무역·중공업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다. 박 회장은 1990년까지 1조5000억 원의 그룹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며 주력 사업인 식품 분야를 수익성 위주로 경영하고, 전자 등 비식품 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계획을 세웠다. 장기적으로는 식품과 비식품의 매출 비중을 50대 50으로 만들고, 5개년 계획이 끝난 이후에는 식품회사가 아닌 비식품에 더 무게를 둔 회사로 키운다는 목표였다.

신방전자를 1988년 해태전자로 바꾸고, 1994년에는 오디오 전문업체인 인켈을 인수하며 전자사업의 토대를 다졌다. 이듬해 전화기 전문 제조업체 나우정밀을 인수해 인켈과 합병하며 본격적인 기술 개발에 나설 채비를 마쳤다. 기존에 인수했던 미진공업사를 1997년 해태중공업으로 사명을 바꾸고, 중공업에도 진출하려고 했다. 1996년 말 당시 해태그룹은 자산 3조3900억원, 매출액 2조7100억원으로 재계 24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야심차게 진출한 전자와 중공업 사업에서 지속적으로 적자를 보면서 부채가 크게 증가했다. 결국 IMF 외환위기로 직격탄을 맞으며 1997년 11월 만기된 어음 196억원을 처리하지 못해 해태제과 등 3개 계열사가 부도 처리됐다.

해태그룹이 부도 직전 은행에서 빌린 돈은 총 2조9780억원이었다. 이후 해태제과는 매각에 성공했지만 대부분의 해태그룹 계열사는 폐업하거나 뿔뿔이 흩어지는 신세가 됐다.

해태음료는 2010년 LG생활건강에 인수됐다. 법인명은 해태htb지만 여전히 ‘해태’라는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1981년 출시된 대표 브랜드인 ‘봉봉’과 1984년 수입판매를 시작한 ‘썬키스트’ 등이 여전히 인기다. 특히 ‘봉봉’은 최근 뉴트로 트렌드를 타고 브랜드를 이용한 젤리가 출시되는 등 브랜드를 확장하고 있다.


무리한 사업다각화로 위기 자초한 ‘비운의 그룹’


해태백화점과 해태수퍼마트를 운영하던 해태유통은 2006년 이랜드그룹에 인수돼 ‘킴스클럽마트’가 됐다. 이후 2011년 신세계에 다시 매각돼 현재 ‘이마트 에브리데이’로 운영 중이다. 현재 이마트 명일점이 해태백화점이 있던 자리다. 해태산업은 2003년 국순당에 매각됐다. 그룹의 위기를 자초했던 해태전자는 2000년 법정관리에 들어가며 ‘이트로닉스’가 됐다가 2006년 풍안방직 컨소시엄으로 매각, 인켈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호남지방을 연고로 창단돼 1983년부터 1997년까지 15시즌 중 9회의 한국시리즈를 우승했던 해태타이거즈는 기아자동차에 인수돼 기아타이거즈로 전환됐다. 이밖에 해태중공업과 해태텔레콤, 대한포장공업 등은 그룹 해체 후 파산 절차를 거쳐 사라지거나 폐업했다.

한편 해태그룹에서 빠져나간 해태유업은 ‘해태’ 이름을 유지하려다 위기를 겪는 해프닝도 있었다. 여전히 해태 계열사로 인식돼 자금난을 겪는 바람에 부도에 이른 것. 결국 2004년 6월 해태유업은 상장폐지된 후 동원그룹에 인수돼 동원F&B 유제품 사업부가 됐다.


허정연 기자 jypower@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 더 보기

구글의 ‘인앱 결제’는 독과점의 횡포?

잘 나가던 백화점 상품권이 온라인에서 외면받는 이유!

'기생충'과 '짜파구리' 덕분? 해외에서 K-라면의 인기의 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