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석유 제품 수출 증가세는 경기 회복의 증거?

국내 정유업계의 3분기 석유 제품 수출량이 지난해 3분기보다 0.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어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감소세를 이어가던 수출량이 지난해 1분 이후 6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에요. 정유업계에선 “저점을 찍은 항공유 수요가 회복된다면 연말까지 증가세를 이어갈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어요.

 

에쓰오일 울산공장의 올레핀 하류시설(ODC) 전경. [사진 에쓰오일]

 

대한석유협회는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계가 3분기 수출한 석유 제품 물량이 지난해 3분기보다 0.6% 증가한 1억1182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에 3분기 석유 제품 수출액은 지난해 3분기보다 약 70% 증가한 90억2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액 기준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하는 3분기 국가 주요 수출 품목 중 5위를 차지했다. 수출액 90억 달러 달성은 2019년 3분기 이후 8분기 만이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석유 제품 수출 단가에서 원유 도입 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도 높아졌다”며 “올해 3분기 수출 채산성은 지난해 3분기보다 배럴당 1.9달러가 상승한 7.1달러 기록해 수출 체질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경기 회복에 전 세계 석유 수요 증가  

 
국내 정유업계의 석유 제품 수출량이 증가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코로나19로 침체됐던 경기가 회복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영국, 싱가포르 등의 국가들이 단계적 일상 회복(일명 위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한 것도 석유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역시 내달 1일부터 위드 코로나 방역 체계로 전환한다.  
 
실제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10월 월간보고서에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5.6%로 예측했다. 이 같은 성장률을 감안해 4분기 석유 수요가 3분기보다 일일 배럴 기준으로 150만 배럴 증가한 9982만 배럴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기준으로 내년 석유 수요는 1억76만 배럴일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에너지기구는 내년 석유 수요가 일일 배럴 기준으로 9960만 배럴이라고 추산했다.  
 
국내 정유업계가 3분기에 석유 제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싱가포르(14.3%)로 조사됐으며, 이어 미국(13.0%), 중국(13.0%), 일본(12.1%), 호주(9.6%) 순으로 집계됐다. 2016년 이후 최대 수출국을 유지하던 중국이 3위로 하락하고 싱가포르가 최대 수출국으로 떠올랐다. 지난 6월 중순 중국 정부의 경순환유(LCO) 수입소비세 부과로 중국향(向) 수출 물량이 감소하자 국내 정유사들이 싱가포르 등으로의 수출을 확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3분기 석유 제품 수출을 제품별로 따지면, 경유가 전체 석유 제품 수출량의 4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휘발유(23%), 항공유(17%), 나프타(8%) 순으로 나타났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3분기 휘발유 수출량은 글로벌 이동 수요 회복 등에 따라 지난해 3분기보다 53% 늘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며 “같은 기간 항공유 증가율은 3.2%로, 저점을 찍고 반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인 석유 수요 증가와 함께 정유사의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 역시 빠르게 회복 중이다. 정유업계 등에 따르면 10월 첫째 주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은 배럴당 6.9달러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상 배럴 당 4~5 달러의 정제마진이 정유사 손익분기점이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 더 보기

오래된 명품백에 다시 생명을 불어넣는 이 남자

대학생 60%는 어째서 구직 단념상태일까?

중기부의 ‘존경받는 기업인’은 ‘셀프 추천’이 가능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