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간중앙

영화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을까' 속의 대한민국 삼포세대

영화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을까>

세 사람의 인물을 통해 보여주는 미혼의 삶은 어떨까? 결혼을 하지 않거나 못하는 이유 역시 제 각각이다. 눈여겨봐야 할 것은 영화 속에서 결혼이 여느 로맨틱 코미디처럼 낭만적 결론으로 제시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홍상수 영화의 소제목처럼 ‘결혼만 하면 만사형통은 아니다’라는 뜻이다.


오늘날 젊은이들이 살아가는 현실에서 연애조차 '썸'으로 해소해버리는 것과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다는 '삼포세대'를 넘어 인간관계와 주택구입까지 포기한다는 '사포세대', '오포세대'라는 말은 슬픔을 자아낸다.


결혼 삼포세대


여자 나이 서른다섯, 외면할 수 없는 ‘삶의 숙명적 문제’ 결혼은 선택 아닌 성장의 계기일 뿐일까? 만화를 원작으로 한 영화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을까>를 보며 싱글을 향해 질문을 던져본다.


가지 않은 길, 인생의 숙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의 절대요소 중 하나로 선택을 들었다. 선택을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포기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결혼을 선택했다면 미혼 혹은 비혼의 삶을 포기한 것이다. 반면 미혼을 선택했다면 결혼을 포기한 것이다.


하지만 어떤 것을 선택했다고 한들 100% 만족은 없다. 그래서 우리는 그 가보지 않은 길을 자꾸만 돌아보고 또 생각해본다. 그런다고 해서 되돌아갈 길은 없지만 말이다.


작가 마스다 미리의 만화 대부분은 이제 다시 선택하기가 두려워지는 서른다섯 즈음의 여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이제는 정말 오도가도 못하는 나이, 뭔가 지금 가고 있는 길의 딱 중앙에 섰지만 그래도 여전히 선택의 여지가 남아 괴로운 나이, 그래서 아직은 성장하는 중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서른다섯 살 말이다.


▨ 나이를 먹어야 생기는 고민들


원작 만화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바로 나이를 먹고 나서야 비로소 보이는 사실들이다. 가령 성희롱은 남자가 여자에게만 하는 게 아니라는 것. 주로 사와코와 수짱이라는 두 인물의 일상을 소재로 하고 있다.


결혼 삼포세대


사와코는 노인성 치매로 기억을 잃은 할머니, 그리고 그를 돌보는 엄마와 함께 살고 있다. 사와코는 만약 자신이 결혼을 하게 되면 할머니와 엄마, 이 두 사람만 두고 도망가는 기분이 들어 고민이 많다. 할머니는 치매의 영향 탓으로 엄마를 자신의 딸이 아니라 언니로 여긴다. 문득 사와코는 ‘엄마가 자신의 엄마를 잃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엄마는 아직 살아 있는 엄마로부터 자식으로 대접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상 속에서 소소한 철학을 찾는 것, 그게 바로 마쓰다 미리 만화의 장점이다. 중요한 것은 이렇듯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을 발견하는 데에 멈추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 다시 질문을 던진다는 것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든다는 건 아버지나 어머니의 탓이 아니듯이’ 누구라도 나이를 먹으면서 할 수 없는 많은 것이 생긴다. 사실 이런 고민은 꼭 결혼을 하지 않아서 생기는 것 때문만은 아니다. 늙어간다는 것은 선택이 아니기 때문에 나이 먹는 것에 대한 불안을 자식의 미래에 대한 강박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 “결혼이 ‘만사형통’은 아니다”


누구나 한 번쯤 해볼 만한 고민들이 이렇듯 조심스럽게 찬찬히 수짱과 사와코를 통해 전달된다. 전달은 공감이 되고 공감은 수긍으로 다가온다. 영화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을까>는 마스다 미리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고 있지만 여러 면에서 다른 색깔을 가지고 있다. 일단 원작이 주로 내면적 독백과 잠언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영화는 필연적으로 갈등을 중점으로 진행된다. 원작의 등장인물이 수짱과 사와코였던 것에 보조적인 인물이 한 명 더 등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결혼 삼포세대


영화라는 틀을 완성케 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갈등을 좀 더 부각시켰기 때문에 좀 더 잘 보이는 부분도 있다. 이를테면 싱글인 그녀들의 사회적 위치와 함께 직장생활 속 독신 여성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비춰졌다는 것이다. 사회 초년병의 고군분투가 만화 <미생>에서 그려졌다면 마이짱의 삶은 서른다섯 살이 된 독신 여성이 등장하는 일본판 <미생>이라 할 수 있다.


세 사람의 인물을 통해 보여주는 미혼의 삶은 어떨까? 결혼을 하지 않거나 못하는 이유 역시 제 각각이다.


▨ 선택권이 박탈된 대한민국 ‘삼포세대’


적어도 영화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의 세 인물에게 결혼은 선택의 문제다. 또 다른 등장인물 마이짱이 유부남과의 불륜관계를 정리하고 선을 봐서 후다닥 결혼을 해치우는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특별히 운명의 상대를 기다리지 않아도 결혼하고프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 그런 선택의 여지가 보이는 것이다.


수짱이 결혼에 대한 고민보다 점장으로서의 승진을 선택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한마디로 그녀들은 결혼하지 못했다기보다 자발적으로 비혼의 상태를 선택한 사람들로 그려진다. 적어도 영화 속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결혼하지 못하는 서른다섯 살은 없다. 결혼하지 않는 것을 선택했을 뿐이다.


어느 새 우리에게 ‘삼포세대’라는 말이 신조어를 지나 유행어가 됐다. 연애, 결혼, 출산 이 세 가지가 바로 포기한 3종 세트란다. 어느 샌가 우리에겐 이 세 가지가 무척이나 벅찬 것이 되고 말았다. 선택이라는 말 자체가 사치스러운 엄살이 되고 만 것이다.


때문에 일부 서른다섯의 미혼에게 결혼은 ‘자아’의 문제라기보다는 생존의 문제로 여겨진다. 선택의 대상조차 될 수 없는 이 안타까운 상황 앞에서 ‘자아 문제’는 슬그머니 가장 나중에 생각해도 될 것으로 미뤄지고 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른다섯 살도 여전히 성장해야 하는 나이”라는 원작과 영화가 주는 메시지는 모든 것을 포기했다고 말하는 우리에게도 위안이 된다.


결혼은 포기나 선택이라는 거창한 명사로 설명하고 묘사해야 할 만큼 중요한 일임에는 분명하다. 외면할 수 없는 삶의 문제이자, 현실을 염두에 놓고 보면 내면의 목소리는 자꾸 모른 척하게 만드는 결혼. 바로 그 결혼에 대해 진지한 질문을 던져 주는 작품이 바로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을까>다


대한민국에서 30대 중반의 여자, 결혼을 하지 않는 여자로 '삼포세대', '사포~오포세대'를 공감하며 살아가고 있다면, 삶의 대한 고민을 해볼 때 한번 이 영화를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