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간중앙

김인식 감독의 뚝심 야구, '2015 프리미어12'에서도 발휘될까?

2006, 2009년 WBC(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4강과 준우승의 역사를 써낸 한국 야구. 야구팀의 배후에는 김인식 감독이 있었다. 믿고 보는 한국야구를 만들어낸 김인식 감독이 '2015 프리미어 12'의 선장이 되어 세계 야구랭킹 1위를 향해 출항한다.


wbc 한국야구 김인식

▎김인식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11월 8일 개막하는 야구 국가대항전 프리미어 12에 대표팀을 이끌고 출전한다. 김 감독이 대표팀 지휘봉을 잡은 것은 2002년 아시안게임, 2006·2009년 WBC에 이어 4번째다.


▧ 김인식 감독이 이끄는 프리미어 12


야구 국가대항전 프리미어 12에 참가하는 한국 야구 대표팀 명단이 10월 7일 발표됐다. 11월 8일 개막을 한 달 앞두고 대표팀의 윤곽이 드러난 것이다.


김인식(68) 대표팀 감독의 얼굴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올가을 절정의 타격을 선보였던 미국프로야구 추신수(33·텍사스 레인저스)를 엔트리에 넣지 못했기 때문이다. 메이저리그(MLB) 사무국이 빅리거의 프리미어 12 출전을 반대한 까닭이다. 마무리투수 오승환(33·한신 타이거즈)도 빠졌다. 시즌 막판에 입은 허벅지 부상이 심각해 11월 대회에 뛰기는 어렵다는 뜻을 전해왔다. 가뜩이나 메이저리그 소속의 에이스 류현진(28·LA 다저스)과 유격수 강정호(28·피츠버그 파이리츠)가 모두 부상으로 수술대에 오르는 바람에 대표팀에서 제외된 터이다.


대회 준비과정에서 “프리미어 12에 꼭 가고 싶다”고 나서는 선수가 없었다. 국제대회 경험이 풍부한 투수 윤석민(29·KIA)은 팔꿈치, 양현종(27·KIA)은 어깨 통증을 이유로 빠졌다. 컨디션이 괜찮은 선수들도 눈치만 봤다.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프로야구 선수들의 몸값에 비해 프리미어 12가 줄 수 있는 보상(대회 상금과 보너스, FA 등록일수 산정 등)이 너무나 작기 때문이다. 노(老)감독의 주름이 깊어졌다.


“나라가 부르잖아. 그거 말고 다른 이유가 필요해? 선수들도 그렇게 생각해줬으면 좋겠어. 국가대표가 돼서 뭘 얻을 생각부터 하지 말라고 말이야. 태극마크를 다는 거잖아. 어릴 때부터 그렇게 달고 싶어 했던 태극마크.”


김 감독은 <월간중앙>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과거부터 해온 말과 크게 다르지 않다. 김 감독은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대표팀 감독을 맡았을 때와 2006년과 2009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도 선수들에게 국가를 대표한다는 사명감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wbc 한국야구 김인식


▧ 야구는 국가다


프리미어 12에는 메이저리그 선수들의 참가가 저조할 전망이다. 미국 중심의 WBC에 대항하는 대회에 연봉 수백만 달러를 받는 선수들이 굳이 출전할 이유가 없다. MLB 사무국도 각 구단의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지 않은 마이너리그 선수들이 프리미어 12에 참가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최고 선수들이 빠진 대회라면 선수들의 ‘세일즈 효과’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국내 선수들이 대표팀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이유다.


김 감독은 그걸 한탄한다. “보상받을 것부터 생각하면 안되지. 대한민국 최고의 선수들이 모인 만큼 수준 높은 기량을 보여주고, 좋은 성과를 내는 게 중요하잖아. 대표팀에 뽑힌 선수라면 야구로 많은 혜택을 입었을 것이야. 그걸 국민께 돌려드려야 해. 그렇게 생각했으면 좋겠어.”


그의 호소가 어디까지, 누구에게까지 전달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김 감독은 비장하다. 그는 “프리미어 12가 첫 대회이긴 하지만 세계랭킹 상위 12개국이 참가하는 국가대항전이다. 몇몇 야구인은 2017년 WBC, 2020년 도쿄올림픽을 대비해 이번에는 젊은 선수들을 뽑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미래 전력은 국가대표 상비군에서 만드는 거다. 국가대표는 현재 최고의 선수들이 모이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김 감독은 대표팀 지휘봉을 잡으면 국가주의 또는 전체주의적 색깔을 드러낸다. 그에겐 야구가 곧 국가다. 평소 대한민국 최고의 덕장(德將)으로 꼽히는 김 감독이지만 대표팀 선수들에겐 특별한 책임감과 국가관을 요구한다. 20~30대 젊은 선수들에게는 잘 통하지 않을는지 몰라도 김 감독은 그렇게 말할 자격이 있다.


wbc 한국야구 김인식

▎2009년 3월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회 WBC 준우승 축하연에서 건배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과 김인식 감독.


▧ 김인식, 야구감독으로서 그의 인생


2005년 한화를 4강으로 이끈 김 감독은 이듬해 WBC 감독으로 추대됐다. 2006년 WBC는 규모와 성격을 파악하기 어려운 첫 대회였다. 일본전이 힘겨워 보일 뿐 아니라 메이저리거가 대거 참가하는 미국·도미니카공화국·멕시코 등과의 경기는 공포감까지 줬다. 야구 대표팀을 구성하고 지원하는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연륜과 덕망을 갖춘 김 감독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김 감독이 지휘봉을 잡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당시 김재박 현대 유니콘스 감독, 조범현 SK 와이번스 감독, 선동열 삼성 라이온즈 감독이 코치로 합류했다. 해외파 선수 박찬호·이승엽·서재응·김병현 등이 기꺼이 태극마크를 달았다. 김 감독의 용기를 보고 최고의 지도자들과 선수들이 뜻을 모은 것이다.


야구대표팀은 2006년 WBC 1라운드에서 일본, 2라운드에서 미국·멕시코를 꺾고 4강에 올랐다. 결정적일 때 이승엽의 홈런이 터졌고, 박찬호·김병현의 호투가 이어졌다. 메이저리그 홈페이지는 “Who are these guys, anyway(도대체 어디서 나타난 녀석들이야)?”라고 물었다. 준결승전에서 일본에 지긴 했지만 ‘김인식팀’은 야구 변방이었던 한국을 세계무대로 끌어올렸다.


2009년 WBC를 앞두고 KBO는 또 다시 고민에 빠졌다. 현역 감독들이 모두 대표팀 사령탑을 고사한 것이다. 야구 열기가 뜨거워진 만큼 좋은 성적을 내야 한다는 부담이 컸던 탓이다. 김경문 감독도, 김성근 당시 SK 감독도 WBC 대표팀을 맡길 꺼렸다. 또다시 김 감독에게 공이 넘어왔다.


하일성 당시 KBO 사무총장이 김 감독을 찾아왔다. 하 총장은 방송 해설위원으로 활동할 때부터 40년 가까이 김 감독과 호형호제하는 사이였다. 그는 용건을 꺼내지 않고 자리에 앉자마자 소주를 들이켰다.


김 감독은 “하 총장도 큰 수술(심근경색)을 받았잖아. 술 많이 마시면 안 되는데 앉은 자리에서 몇 잔을 들이키더라고. 무슨 일이냐고 했더니 ‘내년 WBC 대표팀 감독을 맡아 달라’는 거야. 어렵다고 했지. 내 건강도 좋지 않고, 소속팀에도 미안하니까”라고 회상했다.


하 총장은 그 자리에서 술을 더 먹었다. “형님, 형님은 대한민국 사람 아니요? 나라를 위해서 맡아줘요.” 하 총장에게서 ‘나라’라는 말이 나온 순간, 김 감독의 말문이 막혔다. 짧지 않은 침묵을 김 감독이 깼다. “왜 또 나야? 아무튼 알았어.”


wbc 한국야구 김인식

▎2009년 WBC를 앞두고 가진 미국 하와이 전지훈련에서 선수들의 훈련을 지켜보고 있는 김인식 감독(왼쪽)과 김성한 수석코치.


▧ 대한민국 야구에는 그가 필요하다


2009년 대회를 앞두고 WBC에 대한 병역특례혜택이 없어졌다. 선수들은 물론 각 구단도 대표팀 구성에 협조적이지 않았다. 대표팀에 시간과 노력을 쓰면 그만큼 소속팀의 손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국 프로구단 감독들로 대표팀 코치진을 구성해 달라는 김 감독의 요구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김 감독은 김성한 수석코치(전 KIA 감독)와 이순철 타격코치(전 LG 감독) 등 야인(野人)을 중심으로 스태프를 구성했다. 코치진 명단을 발표하면서 그는 “국가가 있어야 야구도 있다”고 말했다. 각자의 이유로 대표팀을 외면한 구단과 감독, 선수들을 향한 일갈이었다.


그는 몸이 불편하고, 자리가 위태롭고, 잘해야 본전인 상황에서도 그는 기꺼이 태극마크를 품었다. 그랬기 때문에 “국가가 있어야 야구도 있다”는 그의 말은 수많은 야구인을 부끄럽게 했다. 2009년 WBC 대표팀은 결국 준우승을 일구어냈다.


WBC 감독 선임 때마다 잡음이 일자 2009년 KBO 규약이 생겼다. 전년도 우승 또는 준우승 감독이 자동으로 대표팀을 맡자는 것이었다. 우승 감독은 심적인 여유가 있고 소속팀의 신뢰를 받을 테니 대표팀을 위해 희생하자는 합의였다. 그러나 이 제도는 5년밖에 가지 못했다. 대회로 치면 세 차례만 유지됐다. 현역 감독들이 “소속팀과 대표팀 지휘를 함께하기에는 부담스럽다”며 고사한 것이다.


프리미어 12를 앞두고도 류중일 감독과 염경엽 감독이 대표팀 지휘봉을 잡는 걸 사실상 거절했다. 현장 감독들은 “김인식 감독님이 맡았으면 좋겠다”고 뜻을 모았다. 결국 각 구단 대표이사들의 의결기구인 KBO 이사회가 김 감독을 대표팀 사령탑으로 선임했다.


wbc 한국야구 김인식

▎제1회 야구월드컵인 2006년 WBC에서 4강 쾌거를 이룬 김인식 감독이 팬들의 뜨거운 환영을 받으며 귀국하고 있다. 왼쪽은 대표팀 주장 이종범.


▧ 김인식 감독의 휴먼볼


프리미어 12 대표팀은 선수 구성부터 애를 먹었다. 메이저리그 팀들뿐 아니라 국내 구단들도 선수와 코치를 내주는 걸 달가워하지 않는다. 어려움 속에서 대한민국 야구는 또 김인식을 찾았다. 김 감독이라면 위기 상황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어려운 상대와 담대하게 싸울 것으로 믿는 것이다. “야구는 국가다”라고 말하는 그이기에 선수들이 믿고 따를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김 감독이 대표팀을 맡는 건 이번이 네 번째다. 프로리그에서 정규시즌 통산 1567승을 거뒀고, 한국시리즈에서 10차례 우승한 김응용 감독은 2000년 시드니올림픽만 맡았다. 통산 1300승을 돌파한 김성근 감독은 대표팀 유니폼을 입은 적이 없다. 다른 감독들도 한 번 성과를 내면 더 이상 대표팀 지휘봉을 잡지 않았다.


김 감독은 “역시 일본전이 가장 어렵다”고 토로했다. 일본은 한국보다 기량이 한 단계 위인 데다 대회 준비에도 적극적이다. 한일전의 해법 역시 김인식 감독이 갖고 있다. 그는 한국 야구 역사상 가장 많은 한일전을 지휘했고 가장 좋은 성과를 냈다. 두 차례 WBC에서 8번 만나 4승 4패를 기록했다. 전력의 열세를 딛고 선수들과 함께 이뤄낸 성과였다.


김 감독의 야구는 ‘휴먼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는 작전을 많이 걸거나 변칙을 구사하지 않는다. 선수들의 마음을 얻어 그들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야구를 구현한다. 이런 전략은 일본 등 자신보다 강한 상대와 싸울 때 효과적이다.


wbc 한국야구 김인식

▎김인식 감독이 제1회 WBC 4강 금자탑을 세운 뒤 그의 리더십이 크게 부각됐다. 서울 영풍문고에서 <김인식 리더십: 야구를 경영하는 감독의 6가지 원칙>을 보고 있는 시민들.


▧ 인내와 신뢰의 열매를 맺다


한국대표팀은 두 차례 WBC에서 4강전과 결승전에서 각각 일본에 패했다. 그러나 누구도 김 감독을 패장이라 부르지 않았다. 그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조직을 더 강하게 하는, 아주 특별한 능력을 보여줬다. 2006년 WBC에서 각종 외신은 ‘김인식 감독은 강인하고 용감한 사람’이라고 추켜세웠다. 2009년 한국을 꺾고 일본의 우승을 이끈 하라 다쓰노리 감독은 “김인식 감독은 모든 면에서 나보다 낫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감독으로서 400패를 당해 보니 뭔가 알겠더라. 실패와 패배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내가 진 이유를 생각하고, 당장의 패배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이기는 길이 보인다. 400패를 당한 감독은 400승쯤 했을 거다.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좋은 지도자가 된다”고 강조했다.


김 감독의 리더십은 인내와 신뢰로 상징된다. 쌍방울 레이더스 감독 시절이었던 91년 신인 김기태를 4번타자로 세웠다. 김기태가 4월 한 달 동안 타율 1할에 그쳤으나 김 감독은 그저 참고 기다렸다. 5월부터 맹타를 터뜨린 김기태는 왼손 타자 역대 최다 홈런(27개·당시 기준)을 기록했다.


구성원 모두를 믿을 순 없지만 한 번 믿으면 끝까지 믿음을 저버리지 않는다. 그게 김인식 감독을 상징하는 ‘믿음의 야구’ 요체다. 그의 안목과 인내가 신뢰를 만들고 선수를 성장하도록 돕는다. 일본을 비롯해 프리미어 12에서 만나는 국가들 대부분은 한국보다 시장이 크고, 탄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한국 대표팀이 믿을 건 사람뿐이다. 그래서 한국 야구는 김인식을 선택했다. 그의 ‘휴먼볼’은 한국 야구의 국제경쟁력이다.


김인식 감독의 뚝심 야구는 흉내 내지 못할 만큼 대단하다. 그를 지금의 자리까지 오게 한 것은 구성원을 향한 강한 믿음이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거장 사령탑 김 감독이 이끄는 2015 WBSC 프리미어 12에서 그가 써내려가는 또 한 번의 한국 야구 역사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