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의 세계적인 의류유통 업체인 H& M(Hennes & Mauritz)의 스테판 페르손(67) 회장은 스웨덴 최고이자 세계 12위의 부자다. 미국 경제 잡지 포브스에 따르면 2014년 10월 현재 재산이 311억 달러에 이른다. 페르손 회장은 지난해 280억 달러의 재산으로 포브스 세계 부호 순위에서 스웨덴 1위, 세계 17위에 올랐다.
세계적인 불황기에 재산이 1년 새 31억 달러나 증가한 것도 예사롭지 않다. 10 억 달러 이상의 재산을 가진 부호가 12명 있는 스웨덴에서 최고 부자의 위치에 올랐다는 점도 눈에 띤다. H&M은 자라로 유명한 스페인의 인피덱스에 이어 세계 2위의 SPA업체다. 미국의 갭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H&M은 현재 전 세계 53개 국에서 26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더욱 주목할 점은 H&M의 브랜드 가치다. 영국계 브랜드 컨설팅 업체인 인터브랜드가 지난 10월 9일 발표한 ‘세계 100대 브랜드 순위’에서 H&M 은 브랜드 가치 210억 8300만 달러로 21위에 올랐다. 198억 7500만 달러로 22위를 차지한 나이키나 191억 1900만 달러로 24위를 차지한 펩시보다 높게 평가됐다. 특히 동종 SPA업계에서는 1위를 지켰다.
SPA는 제조·유통 일괄형 의류(SPA, 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를 가리킨다. 한 업체에서 기획·생산·판매를 일괄적으로 모두 담당하는 브랜드를 말한다. 생산 단가를 낮추고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단계를 축소해 생산과 관리 비용을 줄여 더욱 낮은 가격에 제품을 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듯 트렌드 변화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도 있어 최근 패션 분야 유통에서 각광받고 있다. 디자인은 특화하면서도 재료값과 제조 비용은 낮춰 전체적으로 보기는 좋으면서 제품의 주기는 줄이는 방식이다. 옷은 한 번 사면 두고두고 입는다는 고답적인 개념을 타파하고 패스트 푸드처럼 간단하게 소비하는 제품으로 만든 것이다. 고객은 해당 디자인이 유행하는 짧은 기간에만 입고 버리는 개념이다.
물론 제조 비용과 재료비를 극도로 절감하다 보니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세련된 디자인과 다양한 제품으로 고객층을 늘리고 있다. 기존의 주 타깃이던 2030세대는 물론 4050세 대도 관심을 갖게 되면서 시장이 갈수록 넓어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가격을 중시하기 때문에 마케팅 비용을 대대적으로 확대하기는 무리다. 그런 상황에서도 이정도로 브랜드를 키운 것이다.
페르손 회장은 이 회사의 두뇌와 손발을 철저히 분리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스웨덴과 유럽의 로컬기업이던 H&M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원동력이다.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본사는 브랜드 관리, 디자인·기술 개발, 제품 기획, 판매전략 수립, 매 장 이미지 관리만 맡고 생산은 모두 아웃소싱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은 철저히 본사의 전유물이다. 그 결과 ‘디자인드 인 스웨덴’은 하나의 권위 있는 브랜드가 됐다. 이제 ‘메이드 인 어디’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정평 있는 스웨덴 디자인이면 족하다. 가구 등 생활용품을 취급하는 세계적인 유통업체 이케아가 대표적이다. 이들 모두 최고 수준의 디자이너를 고용해 다양한 디자인을 한없이 쏟아내 세계의 유행을 주도하고 있다.
H&M 디자인팀은 전 세계 모든 매장에서 들어오는 판매 정보를 바탕으로 곧바로 필요한 디자인을 하는 것은 물론 전 세계 공장들의 제품 제조 단계를 관리·통솔하고 있다. 상품 기획과 디자인, 제조와 판매 관리를 책임지는 두뇌격이다. 유럽과 아시아에서 800개 정도의 공장과 계약을 맺고 본사가 디자인한 패션 아이템의 생산을 맡기고 있다. 모두 아웃소싱이 원칙이다.
800여 개에 이르는 전 세계 협력업체는 H&M과 수직 통합되지 않고 서로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단가가 맞지 않거나 품질관리가 원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면 협력업체만 바꾸면 된다. 더 좋은 가격, 더 나은 품질로 물건을 공급하겠다는 납품 희망 업체는 늘려 있다.
이들에겐 H&M의 하청업체를 맡는 것 자체가 경력이 되고 노하우를 쌓아가는 길이 된다. 따라서 800 개의 업체는 물론 주변의 동종업체가 모두 상호 경쟁 관계에 있게 된다. 성장하는 기업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페르손 회장은 2세 경영인이다. 그의 아버지인 에를링 페르손(1917~2002) 선대 회장이 1947년 H&M을 창업했다. 1982년 에를링은 아들인 스테판을 이사에 앉혔으며 스테판은 1998년까지 이사로 일하다 이후 H &M의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현재는 회장을 맡고 있다. 페르손 집안은 주식의 33%, 의결권의 69%를 보유하고 있다. 스테판은 현대적이고 공격적인 경영으로 H&M을 세계적인 기업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그는 2009년 당시 34세의 아들 카를요한 페르손에게 최고경영자(CEO)를 맡겼다. 스테판 페르손 자신은 회장으로서 회사의 미래 청사진과 굵직한 결정만 맡았다. 3세 경영인인 카를요한 페르손 대표는 1996년 런던의 유럽경영학교(European Business School)에 들어가 경영학과 경제학을 전공하고 2002년 마쳤다.
그는 졸업 전인 2001년 이벤트 회사를 매입해 이 분야에서 스칸디나비아 최대의 기업으로 키운 뒤 2007년 MCI에 거액을 받고 팔아 사업 수완을 보였다. 2005년 H&M에 입사한 아들은 회사의 확장을 맡다가 실적을 낸 뒤 2007년 영업기획 담당으로 올라서며 본격적인 경영 수업을 받았다. 이렇 게 여러 가지 수완을 보인 뒤 비로소 H&M의 후계자가 될 수 있었다. 사자 새끼를 제대로 키우는 페르손 가문의 모습이다.
채인택 중앙일보 논설위원
[이코노미스트, 125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