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rbes Korea

상장기업들의 사명 변경 이유와 긍정적 부정적 효과

사명 변경


이름은 그 사람의 많은 것을 이야기해준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도약을 위해, 새로운 비전을 위해 몸체를 바꾸는 작업은 사명변경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많은 상장기업들이 사명을 변경하고 있다. 최근 5년 동안에도 사명을 바꾼 기업은 연 평균 83곳이 넘으며 올해만 해도 벌써 46곳(5월 31일 기준)의 상장사가 이름을 바꿨다. 과연 상장기업들이 사명을 변경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기업의 사명은 기업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인지도와 신뢰성의 척도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사명 교체는 쉽게 결정할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사명을 교체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업 간 인수합병(M&A)에 따라 주인이 바뀌기 때문이다. 특히 2009년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M&A만을 목적으로 설립하는 명목상 회사) 설립이 허용되면서, 스팩과 일반기업의 합병상장으로 인한 사명 변경이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잦아진 계열사 간 합병으로 사명을 변경하는 사례도 있다. 지난 코스피시장에 상장된 STX메탈은 계열사인 STX중공업에 흡수 합병되면서 'STX중공업'으로 이름을 바꿨다. 6월 18일 기준 STX중공업은 강덕수 전 대표이사의 배임혐의로 매매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지난해 합병한 포스코계열사 성진지오텍과 포스코클랜텍은 합병 후 이름을 포스코플랙텍으로 바꿨다.


사명 변경의 또 다른 이유는 경영 전략상 변경이다. 대표적인 기업이 롯데삼강이다. 롯데삼강은 지난 4월 종합식품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롯데푸드로 사명을 바꿨다. 또 다른 기업으로 우리들생명과학(현 우리들휴브레인)이 사명을 바꾸었는데, 6년 전 중소기업 제약회사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종합헬스케어전문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의지를 담아 상호를 수도약품에서 우리들생명과학으로 바꿨다. 그리고 지난 4월 우리들휴브레인으로 또 한 차례 사명을 교체했다.


상장기업 사명변경 추이



그렇다면 사명 변경은 기업들이 기대하는 것처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윤성용 외국어대 교수(경영학)는 "단기적인 기업 경영성과에는 영향이 없고 오히려 마이너스 부의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이 의견에 동조했다. 한국전략경영연구원의 김덕영 연구원도 "사명 홍보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만 고려해도 단기적으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해외 기업들의 사명 변경 효과는 어떨까. 국내에서는 사명교체 후에 눈에 띄는 성과를 올린 기업을 찾기 어렵지만 해외에는 간혹 있다. 바로 일본의 전기전자제조업체 소니다. 설립 당시 소니의 기업명은 도쿄쓰신코쿄(Tokyo Tsushin Kogyo)였으나 외국인이 발음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1958년 소니로 바꿨다.


이에 반해 국내에는 오히려 인지도가 높은 사명과 유사한 상호를 사용하다 소송 당한 회사가 있다. 지금은 일본 투자회사인 에스비아이(SBI)홀딩스에 인수돼 SBI저축은행으로 사명을 변경한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이다. 2011년 7월, 현대차·현대중공업·현대건설 등 9개 범현대 계열사는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을 상대로 특허청 상표심판 및 부정경쟁행위방지 관련 소송을 제기했다. 상호에 '현대'를 사용하지 말라는 이유에서다. 


당시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하면서 범현대계열사로 현대스위스저축은행과의 관계를 묻는 문의가 이어지자 현대 측이 소송 제기를 결정한 것이다. 하지만 특허심판원은 현대 계열사가 낸 서비스표등록 무효심판 청구를 기각했다. '현대'라는 명칭이 현대그룹 소속 기업뿐 아니라 이미 다른 기업의 이름으로 여러 건 등록돼 있어 유사 여부와 상관없이 상표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게 이유다.


반대로 인지도를 고려해 사명을 바꾸지 않았다가 곤란에 처한 경우도 있다. 바로 동양생명이다. 동양생명은 2010년 동양그룹에 의해 사모투자회사인 보고펀드에 매각됐다. 동양그룹이 가진 동양생명의 지분은 동양증권이 보유한 3%에 불과하다. 그런데 지난해 9월 동양그룹의 유동성위기가 불거지면서 불똥이 동양생명으로까지 튀었다.


불안을 느낀 소비자가 보험을 해약하자 동양생명은 동양그룹과의 관계를 해명하고 나섰다. 이 사건 이후 사명 변경 논의가 이뤄졌으나 고객과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반대 의견이 많아 '동양생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CI만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그렇다면 상호변경은 기업에 부정적인 것일까. 전문가들은 상호변경이 경영성과보다 주가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성용 교수는 "월별, 일별 초과수익률을 분석해본 결과 투자자는 상호변경 공시를 긍정적인 신호로 간주해 상호변경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윤순석 전남대 교수(경영학부)도 "기업의 상호변경이 구조조정과 같은 바람직한 변화를 예고하고 미래 성장에 대한 암묵적 약속이라면 투자자들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뒷받침해 줄 실증 분석도 있다. 바로 투자자의 투자욕구가 상호변경에 영향을 받아 해당 주식의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한다는 투자수요가설이다. 이 가설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코스피시장 상장기업 중 지난해 상호를 변경한 24개 기업을 통해 조사해봤다. 


이들 중 단순 영문상호변경이나 현재 거래가 정지된 기업, 거래 단위가 만원 미만인 기업을 제외하고 최종 9개(롯데케미칼, 삼광글라스, 동아쏘시오홀딩스, 한라비스테온공조, 롯데푸드, 한독, 네이버, 아세아, 종근당홀링스)의 주가수익률을 살펴보았을 때, 상호 변경 당일 주가가 상승한 회사는 동아쏘시오홀딩스를 포함해 6곳이었다. 확률로는 60%가 넘는다.


또한 지난해 4월 18일에 사명을 변경한 롯데푸드는 변경 7영업일 전인 9일부터 주가가 상승했다. 이날 78만5000원이었던 주가는 변경 당일 86만원까지 상승했다. 이 기간 동안 7만 5000원이 올랐다. 아세아도 아세아시멘트에서 시멘트를 떼어내고 주식거래가 재개된 지난해 11월 6일 주가가 가격제한폭인 14.98%까지 치솟았으며, 다음날도 7.14%로 상승 마감했다.


그러나 한라비스테온공조와 한독의 주가는 사명변경 이슈가 발생한 당일에만 소폭 상승한 후 다음날부터는 하락했다. 사명변경 후 한 달 주가수익률이 플러스를 기록한 9곳 중 5곳이 그렇다. 변경 직후 상승세를 보였던 롯데푸드는 -17.09%를 기록했으며, 동아쏘시오홀딩스는 20.57%의 가장 높은 주가수익률을 기록했다. 네이버도 16.04%를 달성했다. 이에 윤순석 교수는 "실제로 상호변경에 대해 주가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기업은 상호변경 후 실적히 호전된 기업에 국한된다"고 설명했다.


사명은 그 기업을 가장 먼저 접하는 브랜드이자, 기업을 한마디로 정의내려주는 핵심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인지도와 미래를 고려한 사명 변경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변경 시에는 관련 업계 사람들과 고객들에게 충분히 이유와 이해를 동반하는 것이 성공적인 사명 변경의 방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