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알뜰주유소, 기름값 억제에 과연 효과 있을까?


알뜰주유소


최근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기름방울이 윙크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주황색 표지판이 눈에 띈다. 바로 '알뜰 주유소'를 표시해둔 간판이다. 누구나 한두번쯤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2011년 12월 29일 경기도 용인에 제1호 알뜰주유소가 설립된 이후 올 4월 기준 1047개의 알뜰주유소가 운영 중이다. 


치솟는 원유 가격에 소비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나온 주유소다. 그러나 숫자가 많아진 만큼 구설수도 끊이지 않고 있다. ‘알뜰’이란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는 게 첫번째 논란이다. 허술한 관리 문제와 세금 감면 등 특혜 시비도 있다. 최근 알뜰주유소 3차년도 사업자를 선정하면서 특정 업체에 특혜를 줬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알뜰 주유소



휘발유 가격 상승


과연 알뜰주유소는 존재 가치가 있을까?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소비자 편익에 기여한다면 알뜰 주유소는 분명 존재 가치가 있다. 소비자 편익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아마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일 것이다. 여기서 ‘가격’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SK에너지·GS칼텍스·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 등 기존 정유사가 운영하는 ‘주유소 판매 가격 대비 알뜰주유소 가격’이다. 당시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가 2011년 알뜰주유소도입 계획을 발표하면서 내세운 목표는 기름값을 리터당 최대 100원까지 싸게 공급한다는 것이었다. 현 시점에서 ‘100원 인하’라는 목표는 여전하다.

그러나 알뜰주유소는 시중 주유소 기름 가격과 큰 차이가 없거나 가끔은 더 비싸게 팔기도 한다. 실제로 심재철 새누리당 최고의원이 지난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8월 기준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알뜰주유소 기름 가격은 일반 주유소보다 리터당 불과 4원 저렴했다. ‘최대 100원싸게 공급하겠다’는 정부의 공언이 무색해지는 결과다. 결국 ‘주유소 판매 가격 대비 알뜰주유소 가격’을 본다면 알뜰주유소는 존재 가치가 미미한 셈이다.

한 가지 더 살펴볼 게 있다. 알뜰주유소 판매 가격이 시중 주유소 판매 가격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알뜰주유소가 등장한 이후 시중 주유소 기름값이 과거에 비해 그리 오르지 않았다면 어떨까. 만약 그렇다면 전체적으로 기름 가격은 저렴해진다. 알뜰주유소 가격이 시중 주유소 가격과 큰 차이가 없더라도 결국 알뜰주유소는 소비자 편익을 증대시켰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두 번째 ‘가격’의 개념이 등장한다. 바로 ‘원유가 대비 휘발유 가격’이다.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과‘오피넷’,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데이터를 살펴보았다.

우선 2012년 이후 정유 4사가 주유소에서 판매한 휘발유 가격과 두바이유 가격을 그래프로 그려보았다. 그간 정유사들은 원유 가격이 하락할 때 ‘시차’를 두고 휘발유 가격에 반영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사실 자체를 비판할 수는 없지만, 알뜰주유소가 크게 늘어난 지난해 이후엔 이 ‘시차(그래프 상 빗금 그은 면적의 상하폭 간격)’가 상당히 줄어든 걸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원유가가 인하된 이후 저렴해진 원가를 판매가에 반영하는 시점이 훨씬 빨라진 것이다. 알뜰주유소와 경쟁을 하다 보니 원유가 인하를 즉시 반영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엔 원유 가격이 동일한 시점에서 알뜰주유소 도입 이전과 이후 정유사 기름 값을 비교해 봤다. 알뜰주유소 효과는 더 명확해진다. 알뜰주유소 도입 이전인 2012년 1월 그래프에서는 유가가 109달러일 때 정유사 기름 값은 약 1954원이다. 하지만 알뜰주유소 도입 이후인 지난해 11월엔 원유가가 비슷할 때(109달러) 정유사 기름값은 1880원에 불과하다. 원가가 같은 상황에서 정유사 판매가는 74원 저렴해졌다. 결국 알뜰주유소 도입 이후 소비자들은 더 저렴하게 기름을 구입하고 있는 셈이다.

2011년 12월 이전 3년과 이후 3년 일자별 유가 정보 데이터를 확인해보자. 원유 가격이 1년 동안 얼마나 변했는지 단순화하기 위해 전일 대비 일간 원유 가격이 상승한 날의 상승치와 하락한 날의 하락치를 모두 합산하면 결과는 +220.74이다. 같은 해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기름값은 얼마나 바뀌었을까. 오피넷에 공시된 2009년 보통휘발유의 전일 대비 일간 상대 가격 수치를 합산하면 결과는 +341.66. 결국 2009년엔 원유보다 보통휘발유가 120.92포인트 더 오른 것이다.

이런 추세는 2010~2011년에도 계속된다. 2012년은 어떨까. 2012년은 연간 원유 가격의 전일 대비 상대 가격이 하락(-37.44)한 해였다. 원유 가격이 상승한 날보다 하락한 날이 많고, 하락한 날 원유 가격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는 의미다. 그럼 휘발유 값은 어떻게 변했을까? 연간 보통휘발유 가격의 전일 대비 변동치를 합산한 결과는 -3.56. 정유사들이 원유 가격 하락분을 기름 값에 천천히 반영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남겼다는 추정이 가능한 대목이다.


원유 휘발유 가격추이


알뜰주유소가 자리 잡은 지난해 데이터를 살펴보니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연간 원유 가격의 전일 대비 상대 가격은 +14.18포인트인데도, 전일 대비 가격 변동 합산치가 보통휘발유(-42.71)와 경유(-49.38) 모두 마이너스였던 것이다. 알뜰주유소가 기존 정유사들의 유가 인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여지가 충분한 데이터다.

결국 세 가지 데이터는 모두 알뜰주유소가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정유 업계 입장에선 알뜰주유소가 마진을 줄이는 ‘공공의 적’이겠지만, 소비자에겐 기름값을 낮춰주는 ‘공공의 친구’인 셈이다.

온갖 구설수에 휘말리며 존폐론까지 대두되는 알뜰주유소지만, 그래도 알뜰주유소는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제도라는 생각이다. 향후 운송비·인건비 등을 축소해 정유사 대비 절대 가격까지 하락한다면, 효과는 배가 될것이다. 정유업계의 비판을 이겨내고 윙크하는 주황색 간판을 더 자주 볼 수 있기를 한 명의 소비자로서 바라본다.


사진:주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