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간중앙

대동여지도 속 사라진 옛 고을을 찾아서

일제강점기 이후 군 317개에서 220개로, 면 4338개에서 2521개로 정리하면서 97개의 폐군현이 몰락했다. 군현통폐합은 민족정기를 말살한 고도의 술수이다. 이로 인해 사라진 옛 고을. 대동여지도 속에는 남아있는 모습을 통해 그 모습을 조금이나마 다시 살펴보도록 하자.


백두산

‘지리산에서 백두산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가고 싶은 길이리라. 전해오는 이야기에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만들기 위해 여러 번 오르내렸다는 백두산 가는 길이 분단 현실 속에서는 갈 수 없는 길이 되었다. 이런 처지에 민족의 성산 백두산을 오르는 길은 한 가지뿐이다. 중국을 통해 오르는 길이다.


필자는 운 좋게 2003년 가을, 인천공항에서 고려항공을 타고 순안공항을 거쳐 백두산 자락에 있는 삼지연공항을 통해 백두산에 오르는 호사를 누렸다. 개천절 남북 공동행사에 초청받았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하지만 10월 2일, 푸르른 천지의 위용을 보고자 했던 기대는 물거품이 되고 휘몰아치는 눈보라 속에 천지 표지석만 겨우 보고 백두산을 내려오는 불운을 겪었다.


“백두산 천지는 말이외다. 조선 처네(처녀)들의 마음 같아서 하루에도 열두 번씩이나 변덕을 부리기 때문에 오늘은 볼 수가 없습네다.”


백두산 천지 안내원의 말을 뒤로 하고 돌아온 뒤로 백두산의 천지를 제대로 본 건 역시 중국 지린성의 이도백하를 거쳐가는 북파와 서파 코스를 통해서였다. 지난해 여름에는 남파 코스로 올라 천지를 보는 행운도 누렸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모르지만 그곳 남파에서 영화 고산자 김정호 촬영팀을 만나 함께 기념사진을 찍는 인연을 맺었다. 대동여지도에 관해 연구해온 필자와 이번에 개봉하는 영화 <고산자, 대동여지도>에서 김정호로 분한 배우 차승원 씨와 강우석 감독을 그곳에서 만난다는 게 얼마나 기막힌 인연인가. 맨 처음 보았던 백두산 천지와 삼지연이 눈앞에 아직도 삼삼한데 그 사이 십여 년의 세월이 흘러갔으니, 세월이 무심한가, 사람의 생애가 무심한가 싶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옛말이 있다. 하지만 요즘은 더한 ‘옛말’이 됐다. 3년은커녕 1년도 채 안 가서 산(山)이 없어지고, 강(江)의 물길을 돌려 자취를 찾아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시간을 거슬러올라간 100여 년 전의 옛 산하의 모습은 그저 상상 속에나 존재할 뿐이다.


▒ 1914년 군·면 통폐합으로 97개 폐군현

폐군현

필자가 우리 국토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초반부터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길을 떠나기 전날 밤에는 답사 중에 찾아갈 현장들이 아스라이 떠올라 잠을 이루기가 어렵다. 그때마다 머리맡에 놓아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와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擇里志)> 그리고 <한국지명총람>을 펼쳐놓고 답사할 곳들을 다시 들여다보면 잠은 저만치 달아나곤 했다.


하지만 막상 그곳에 가보면 한때는 번성했을 고을이 흔적도 없이 사라진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었다. 거꾸로 예전에는 불모의 땅으로 여겼던 곳이었는데 빌딩과 아파트 숲이 들어서며 땅값이 폭등해 황금의 땅으로 바뀌기도 한다. 변하고 또 변해가는 세월 속에서 더 마음을 아프게 하고 애잔한 상념을 불러일으키는 곳들이 있다. 바로 폐현이다.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에는 군현(郡縣)으로 표시돼 있지만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뒤인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사라지거나 쇠락한 지도 속의 군과 현들이다.


유주현의 대하소설 <조선총독부>에 1914년의 군·면 통폐합 이야기가 언급돼 있다. “1914년 3월 새로운 관제(官制)를 포고해 조선의 부·군·면을 통폐합하고 97개의 군을 폐지해버렸다.”


물론 나라가 열리고 나서 군현은 수많은 통폐합의 과정을 겪어왔을 터이다. 신라 경덕왕 때 첫 번째 통폐합이 있었고, 조선 초기에도 수 차례 통폐합이 있었다. 지금의 행정구역이 된 것은 조선 후기인 1895년 지방관제 개편에 따른 것으로 당시 군현제가 군으로 바뀌었다. 그것이 조선의 마지막 행정 개편이었다.


그 뒤로 일제강점기인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는 조선 8도의 지방관제를 개편하면서 많은 수의 군을 없애버렸다. 군은 317개소에서 220개로 줄었고, 면은 4338개에서 2521개로 줄었다. 97개 폐군현의 몰락이 가속화된 것이다.


고산자 김정호는 어느 고을을 가서나 그 지방의 지리·명소·산세(山勢)·성(城)·고적 등 필요한 모든 부분을 묻고 실제로 찾아가 그것을 하나하나 확인했다고 한다. 필자 역시 그런 김정호의 정신을 본받아 어느 고을에 가게 되면 먼저 읍사무소나 면사무소를 찾아가 옛날 관아 터나 고적부터 묻는 게 일상이 됐다. 그러면 대부분의 사람은 금시초문이라는 표정을 지으며 “잘 모르겠다”는 대답이 돌아오기 일쑤다. 나이든 어르신이나 그곳에 오래 살았던 토박이도 모르기는 마찬가지였다. 불과 100여 년, 아니 30~40년 사이에 ‘상전벽해(桑田碧海)’란 말이 실감이 날 정도로 우리 국토가 변화의 물결에 휩싸여 있는 것이다.


한때는 위풍당당한 외관을 자랑했을 고을 관청, 수령방백들이 올라서 휴식을 취했을 누정들은 깨어진 기왓장이나 수풀이 우거진 공터만 남아 있을 뿐 흔적조차 찾을 수가 없다. 조선 중기의 학자인 유몽인은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최치원이 지은 ‘진감선사비문’을 보고 이런 말을 남겼다.


“여러 차례 흥망이 거듭됐지만 비석은 그대로 남아 있고, 사람은 옛 사람이 아니다.” 그의 말대로 직접 현장을 찾아보면 여기저기 흩어진 비석들은 한데 모아져 있는데, 사람은 그때 사람이 아니고 옛 고을도 사라져버린 것을 확인했을 때는 왜 그리도 아쉽고 쓸쓸한 마음이 생기던지!


▒ 전주 다음으로 번성했던 고부군의 추락

고부군

김정호는 <대동여지도> 서문에서 “큰 강과 샛강은 강·호수·바다를 이루는 큰 근본이다. 그 사이에는 빙빙 돌아 흐르는 것도 있고, 갈라져 나가 흐르는 것도 있고, 한데로 아우러져 흐르는 것도 있고, 흐르다 말라버리는 것도 있다”라고 했다. 만물이 오고 만물이 가는 우주의 질서 속에서 세상의 이치나 사람의 한평생도 흥망성쇠(興亡盛衰)가 거듭되는 것인데도 그 광경을 바라보는 마음은 그저 쓸쓸함뿐이다.


그렇다면 1914년 일제에 의해 사라진 군현들은 어디어디 일까? 일제 군현 통폐합으로 가장 큰 변화가 생긴 곳 중에 하나가 전북 정읍시에 편입된 고부고을이다. 고부는 한때 전라도에서는 전주 다음으로 번성했던 고을로 서울의 당상관 자제들이 앞다퉈 벼슬살이를 꿈꾸던 고을이었다.


질펀하게 펼쳐진 호남평야의 중심부로 기름진 땅에 자리 잡은 고부군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면으로 전락한 것은 1914년이었다. 1930년대에 촬영한 조선고적보도 사진에서 발견한 고부관아 터는 어느 새 사라지고 객관 서쪽 봉우리에 있었다는 고부읍성의 북루(北樓)인 민락정(民樂亭) 역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조선이 망한 뒤 철도가 정읍을 통과하면서 정읍이 교통의 중심지가 되면서 고부가 면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는 강변도 나온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고부면으로 정읍군에 편입되고 마는데 그 직접적인 원인이 동학농민혁명의 발원지였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곳 고부에 조병갑이 군수로 오면서 고부는 변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그는 태인현감을 지낸 아버지 조규순의 영세불망비를 세운다는 명목과 정읍천 변에 구보가 있는데도 새 만석보를 지어 가혹한 세금을 거둬들였다.


3년 동안 내리 가뭄이 들어 살길이 막막했던 농민들을 대신해 전봉준의 아버지 전창혁과 몇 사람이 물세를 감면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물세를 감면해주기는커녕 곤장을 내려쳐 전창혁은 등창이 나서 죽었다. 그런 여러 가지 일이 도화선이 돼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것이다. 지금 고부에 남아있는 자취라곤 1403년 지어져 갑오년까지도 있었다는 고부향교와 조병갑이 기생을 끼고 놀았다는 군자정만이 언제 세월의 무상함을 뒤로하고 소개 글귀 하나 없이 그대로 서 있을 뿐이다.


고부군은 정읍군에 속한 면으로 전락한 뒤 옛날 관아 자리에는 고부국민학교가 들어섰고, 현재는 다방 서너 개가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생기 잃은 작은 면소재지가 되고 말았다.


이와 비슷한 사연을 안고 있는 경상남도 함양군의 안의면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고향이다. 정온은 이조참판을 지냈고, 광해군 때 영창대군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제주 대정에서 10여 년간 귀양살이를 했던 충신의 표상이다. 정온의 4대 후손 정희량(鄭希亮)은 1728년에 일어난 이인좌(李麟佐)의 역모사건에 박필현(朴弼顯) 등과 함께 경상도 총책으로 참여했다. 그들은 충청도 청주를 점령한 뒤 한때 안음·거창·합천·삼가 등의 고을을 제압했다. 그러나 오명항(吳命恒)이 이끄는 관군에 패배했고, 정희량은 거창에서 체포돼 참수당했다.


▒ 연산군의 적거지, 강화군 교동도

교동도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연혁’편에는 “역적 정희량이 역모해 혁폐하고, 현의 땅을 함양과 거창에 분속시켰다”라고 기록돼 있는데 그 뒤로 안의 사람뿐 아니라 경상도 사람들도 100여 년 동안 벼슬길에 오르지 못하다가 1815년에야 복권이 이뤄졌다. <동국여지승람> ‘안음현’ 조에는 “억세고 사나우며 다투고 싸움하기를 좋아한다”는 말이 실려 있다. 오늘날에도 함양군에선 “안의 송장 하나가 함양 산 사람 열을 당한다”는 말이 회자될 정도다. 그만큼 안의 사람들이 기질이 세다는 말이다.


1914년까지 하나의 군이었다가 지금은 강화군에 소속된 교동도는 어떤 사연을 지니고 있는가?


북한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자리 잡은 교동도는 육지와 격리된 섬이므로 고려 중엽부터 조선후기까지 유배지로 이용됐던 곳이다. 고려 희종이 유배됐고, 조선시대에는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연루된 안평대군(安平大君)이 유배를 왔던 곳이다. 수양대군은 안평대군을 강화도로 유배를 보냈다가 다시 교동도로 옮기도록 했다. 그 뒤 좌의정 정인지(鄭麟趾) 등이 임금에게 안평대군을 죽여야 한다고 강박해 마침내 사사(賜死)의 명을 내렸는데 그 죄목에는 “양모인 성씨와 간통하였다”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안평대군의 뒤를 이어 이 섬으로 유배 온 이가 폭군으로 악명 높은 연산군이다. 중종반정으로 폐위된 연산군은 궁궐을 나설 때 갓 쓰고 분홍 옷에 띠를 매지 않고 나왔다. 연산군은 땅에 엎드려 가마를 타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큰 죄를 지었는데 왕의 덕을 입어 무사히 떠나는구나.”


교동도로 오는 뱃길에는 나인 4명과 내시 2명, 반감(飯監) 1명 도합 7명뿐이었는데 바다 가운데에서 돌풍이 일어 배가 뒤집히려 했다. 그러자 연산군은 “하늘이 무섭다”며 부르르 떨었다. 그 광경을 지켜본 호송대장인 심순경(沈順徑)이 “이제야 하늘이 무서운지 아셨습니까?”라고 했다고 한다.


연산군은 이곳 적소에서 자신으로 인해 희생된 수많은 원귀의 환상에 쫓긴 채 미치광이 같은 나날을 보내다가 그해 12월에 “부인 신비(愼妃)를 보고 싶다”는 말 한마디를 남기고 병들어 죽었다. 그때 나이 31세였다. 그 자리에는 ‘연산군의 적거지(謫居地)’라는 안내판만 남아서 길손을 맞는다.


그 뒤 이곳 교동도 사람들은 연산군의 환영이 두려운 나머지 그가 죽은 뒤편에 당집을 짓고 연산군의 화상을 모셔놓은 뒤 진혼(鎭魂)굿을 벌렸다. 그리고 연산군이 죽은 섣달에는 섬 처녀를 한 사람씩 뽑아 등명(燈明)을 드렸다. 그런데 한 번 등명을 들고 나면 연산각시로 부르며 귀신이 붙었다는 이유로 혼인을 하려고 들지 않으니 거개가 뭍으로 나가 무당이 됐다고 한다.


한편 교동도 남산 아래의 남산포 마을에는 식파정(息波亭)이라는 정자가 있었는데 그 옆에 사신관(使臣館)터가 남아 있다. 바닷가 바위에 정을 쪼아서 만든 층층대가 있는데 고려 때 송나라의 사신들이 이곳에 머물렀다가 떠날 때 배에 오르기 쉽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한다.


▒ 시인·묵객 찾던 청풍명월의 고장, 청풍면

청풍면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충북 제천군에 편입된 청풍군은 산천 경개가 빼어나 아직까지도 ‘청풍명월(淸風明月)’의 고장으로 불린다. 풀어서 말해서 ‘바람은 맑고 달빛은 밝다’는 뜻을 지닌 이 고을은 면으로 강등됐다가 충주댐 건설로 수몰돼 청풍문화재단지만 남아 있다.


조선시대에는 청풍군의 진산인 인지산(因地山) 부근의 남한강에 한벽루(寒壁樓)라는 누각이 있어서 많은 시인·묵객이 찾았던 곳이다. 제천군 청풍면은 1985년에 충주 다목적 댐이 건설되면서 27개 마을 가운데 두 마을만 온전히 남고 나머지는 모두 물에 잠기고 말았다. <택리지>의 ‘복거총론’에는 청풍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구담(龜潭)은 청풍(淸風) 지역에 있다. 양편 언덕에 서 있는 석벽이 하늘 높이 솟아 해를 가리고, 강물이 그 사이로 흘러서 간다. 석벽이 겹겹으로 서로 가려서 문과 같으며, 좌우에는 강선대(降仙臺)·채운봉(彩雲峯)·옥순봉(玉筍峯)이 있다. 강선대는 강을 바라보며 서 있는 바위로서 펑퍼짐한 그 바위 위에는 사람 100여 명이 앉아 있을 만하다. 채운봉과 옥순봉의 두 봉우리는 모두 만 길이나 높은데 한 개의 돌로 돼 있다. 옥순봉은 더욱 곧게 솟아 있어 거인이 팔짱을 끼고서 있는 듯하다.”


조선 전기의 문장가 김일손은 청풍에서 단양으로 가는 길에 만난 이곳의 아름다운 경치를 이렇게 찬탄했다. “그 경치가 아름다운 여인처럼 아름다워 열 걸음을 걸어가며 아홉 번을 뒤돌아봤네.” 그 외에도 이이(李珥)와 이황(李滉) 등 수많은 시인묵객의 글이 남아 있다.


충청도 논산은 노성현과 연산현, 그리고 은진현 등 세 개의 군현이 아주 작은 마을인 놀뫼, 즉 논산에 편입됐다.


관촉사가 있는 은진에 딸린 금강의 큰 포구 강경포는 대구·평양과 함께 나라 안의 큰 상권을 이뤘던 고을이었다. 이중환이 <택리지>에서 “바닷가 사람과 산골사람이 모두 여기에서 물건을 내어 교역한다. 매양 봄여름 동안 생선을 잡고 해초를 뜯는 때는 비린내가 마을에 넘치고 작은 배들이 밤낮으로 두 갈래 진 항구에 담처럼 벌려있다. 한 달에 여섯 번씩 열리는 큰 장에는 먼 곳과 가까운 곳의 화물이 모여 쌓인다”고 기록했다. “은진은 강경 덕에 먹고 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번성했었지만 지금은 젓갈시장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경남 창녕군의 영산면 역시 창녕보다 더 긍지가 높았던 고을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영산줄다리기나 문호장 굿 등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속놀이 이외에는 과거의 긍지를 찾아볼 수가 없다. 규모는 작았지만 삼남대로가 지나는 고을이라 수많은 빈객들을 접대하느라 살림살이가 항상 빠듯했다는 평택의 진위는 지금도 평택과 천안 사이에서 그만그만하고, 허균의 자취가 남아 있는 함열은 전라선 열차가 개설되면서 새로 생긴 ‘함열’ 때문에 함라면으로 이름까지 바뀌어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 김옥균의 ‘팔’ 떨어진 장기현, 명칭마저 바꿔

김옥균

이름이라도 남아 있는 고을은 그나마 다행이다. 어느 지역은 고을 이름마저 바뀌어 찾느라 애를 먹는다. 다산 정약용과 면암 최익현이 유배를 갔고,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金玉均)이 능지처참형을 받은 뒤 팔 하나가 던져진 곳이 호미곶(지금의 포항시)이 있는 장기현이다. 1934년에 봉산면과 합쳐져 새로운 면을 만들 때 행정착오로 장기현의 옛 이름인 ‘지답’의 ‘답(畓)’자를 잘못 써서 ‘행(杏)’이 돼 지행면이 됐다. 또 경기도의 지평현은 양근과 합치면서 양평군이 됐지만 지평이라는 이름은 지제로 바뀌고 말았다가 2008년에야 지평면을 되찾았다.


청간정과 화진포가 위치한 강원도 간성군이 고성군에 편입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고구려 때 이름은 수성군으로 가라홀(加羅忽)이라고 불렸다가 한때는 고성까지 간성의 영역이었으나 고성군에 거꾸로 편입됐다. 그러나 분단 조국의 현실에서 간성은 휴전선 이남에 고성은 휴전선 북쪽으로 나뉜 뒤 지금은 옛날 간성 군청이 있던 자리에 ‘고성군’의 군청이 들어서 있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이곳 바닷가의 풍경을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동해안의 모래는 빛깔이 눈같이 희고 사람이나 말이 밟으면, 소리를 내는데 그 소리가 쟁쟁해 마치 쇳소리와 같다. 특히 간성과 고성 지방이 더 그렇다.” 이중환의 글처럼 동해안에서도 간성 일대는 가장 모래가 고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운 모래밭과 푸른 바닷물이 함께 어우러져 한 번 왔던 이는 다시 한 번 찾게 될 만큼 경관이 빼어나게 아름다운 곳으로 금강산 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다.


충북 연풍은 이화령 아래에 있는 고을로 죄인들을 귀양 보냈던 ‘유도’라는 곳이 있을 정도로 궁벽한 곳에 있는 고을이다. 이 고을에 단원 김홍도가 고을 현감으로 부임해 왔는데, 그가 현감으로 있으면서 선정을 베풀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충남 결성은 청산리전투의 김좌진(金佐鎭)이 1889년 갈산면 상촌리에서 태어났으며, 한용운(韓龍雲)은 1879년 결성면 성곡리에서 태어났던 곳이다. 그러나 지금은 홍성과 광천에 치여서 그냥 작은 면소재지로 전락했다.


경남 산청의 단성은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가져와 최초로 심었던 면화 시배지가 있는 곳이며, 솔거 그림이 있었다는 단속사, 그리고 절의 유래가 많은 율곡사 등이 있다. 그곳 역시 단성현이었다는 흔적은 찾을 수가 없다.


파주 교하는 그나마 ‘교하천도설’이나 북한과의 접경지역이라는 이유로 땅값이 올라 새로운 비약을 꾀하고 있는 곳이고, 화순 능주는 능주목이었다는 자부심으로 목사골이라는 표석도 세워놓았다. 그러나 능주는 정암 조광조가 유배를 와서 사약을 마시고 세상을 하직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을 뿐이다.


▒ “널리 수집, 모두 수록해 빠뜨리지 않으려 했다”

쇠말뚝

일제가 조선을 영구히 강점하기 위해 단행한 것이 행정구역 통폐합이라는 이름의 군(郡)·현(縣) 폐합이었다. 그때 그들이 통폐합의 기준으로 삼아 없앤 고을은 기질(氣質)이 강한 고을이었다. 1939년 11월에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하면서 한민족 고유의 성명제를 폐지하고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설정하고자 했던 창씨개명(創氏改名)보다도 훨씬 먼저 단행된 것이 군현 통폐합이다.


필자는 일제가 민족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나라 곳곳에 심었다는 쇠말뚝이나 지명을 바꾸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고도의 술수로 조선의 정신을 송두리째 앗아간 것이 군현 통폐합이라고 본다. 그로 인해 유서 깊은 전통 고을들은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김정호는 <청구도범례(靑丘圖凡例)>에서 “지지(地誌: 어떤 지역의 자연·사회·문화 등의 지리적 현상을 기록해 그 지역의 특색을 나타낸 것)는 지도에서 미진, 누락된 것을 고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라고 했다. 또한 읍지(邑誌: 고을의 연혁·지리·풍속 등을 기록한 책)는 지방의 부(府)·목(牧)·군(群)·현(縣)을 단위로 해 지역에서 편찬한 지리지로 자기 고장을 단위로 해 작성하므로 여지(輿地: 수레같이 만물을 싣는 땅이라는 뜻으로 지구 대지를 말함)와 달리 “널리 수집해 모두 수록하고 작고 큰 것을 모두 빠뜨리지 않아(細大不遺)”, 한 읍의 실정을 상세히 기록함을 원칙으로 삼았다 한다.


필자 역시 김정호의 자취를 따라 사라진 고을의 흔적을 찾아서 오랜 나날을 헤매고 다녔다. 하지만 얼마나 정확하게 그 고을들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았는지 아직은 자신이 없다. 다만 앞으로도 그 끈을 놓지 않고 답사하고 살펴볼 예정이다. 그 이유는 지금 이 순간에도 무수히 사라져가는 모든 것에 대한 사랑이자 그리움의 표시이며, 헌사(獻詞)이기 때문이다.


신정일(辛正一) - 전북 진안 출생. 독학으로 문학·역사·철학을 공부했다. 1985년부터 한강과 낙동강을 비롯한 한국의 10대강과 영남·삼남·관동대로를 걸어서 책을 썼고,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걸어 해파랑 길을 제안했다. <새로 쓰는 택리지(10권)> <대동여지도로 사라진 옛 고을을 가다(3권)> <조선을 뒤흔든 역모사건> <조선의 천재 허균> <가슴 설레는 걷기 여행> <꿈속에서라도 꼭 한 번 살고 싶은 곳> <사찰기행> <암자기행> 등 70여 권의 책을 썼다. 현재 ‘우리땅 걷기’ 이사장을 맡고 있다.


비석은 그대로되 고을은 옛 고을이 아니네. 이제는 사라진 옛 모습이지만 대동여지도로나마 남아있는 모습은 우리가 기억함으로써 우리에게 남아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