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청년 취업난, 스펙과 매뉴얼에 얽매인 청춘 취준기(취업 사춘기), 인구론(인문계 90%가 논다), 청년실신(청년 실업자나 신용불량자), 장미족(장기간 취업을 못한 사람) 등의 신조어가 유행한다. 한국의 젊은이들은스펙에, 일본의 젊은이들은 매뉴얼에 얽애며 취업난에 허덕이고 있다. 일본 후생성의 발표에 따르면 2015년 4월, 일본의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취업희망자 대상)은 96.7%로 2008년 리먼 쇼크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한다. 구직을 희망하는 대졸자의 약 97%가 직장을 얻을 수 있다니 부럽기 그지없는 이야기다. 그러나 대기업 취업은 여전히 어려우며 고용환경은 개선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 후생성의 분석이다. 일본은 기본적으로 대학졸업 예정자를 우선 채용하는 관습이 있어 대학생들은 어떻게든 학교 재학 중에 입사를 확정받기 위해 4학년 신학.. 더보기 이전 1 ··· 845 846 847 848 849 850 851 ··· 1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