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기업 성공의 3가지 핵심 비법, 친환경ㆍ유기농ㆍ안전

저성장 흐름의 기운이 전세계에 감돌고 있다. 많이 만들어봤자 팔 곳이 없어서 소용이 없다는 소리다. 적게 팔아도 남는 장사를 해야한다. 게다가 소비자의 성향도 점점 변해왔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이 바로 친환경, 안전이다. 아무리 가격이 싸더라도 몸에 해롭고 인공적인 제품에는 지갑을 잘 열지 않는다. 반대로 자연친화적인 제품, 몸에 덜 해로운 제품에는 비싸도 자연스럽게 지갑을 연다. 기업 성공의 비법이 바뀌고 있다. 친환경, 유기농, 안전을 키워드로 하는 제품 및 서비스가 새로운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친환경 제품


'친환경ㆍ안전ㆍ유기농'은 한국 제조업의 미래를 밝힐 수 있는 주요 키워드이다. 특히, 급속도로 성장하는 중국의 제조업체들을 이길 수 있는 비밀병기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도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리고 있는 LG하우시스의 성장의 비결도 마찬가지다.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지갑을 여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한번 살펴보자.


안전한 제품


'한 자녀 정책'을 고집하던 중국이 '단독 두 자녀 정책'으로 바꾸어 정책을 시행중이다. 이 정책은 분유 업계에게 큰 의미가 있다. 지난해 600억 위안(약 10조원)에 달하는 분유시장 규모는 연 평균 약 10% 이상으로 고속 성장 하고 있다.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마저 곧 추월한다. 한 자녀에서 두 자녀로 정책이 바뀌면서 분유 사업의 성장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소비재 시장을 자국 기업들이 점령한 중국에서 이례적으로 분유 업체만 맥을 추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유기농 분유


2008년 멜라민 분유 파동 이후, 소비자들이 자국 기업의 분유를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장 점유율을 보면 미국 업체인 미드 존슨, 와이어스 등의 수입 브랜드가 중국 분유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정부도 강도 높은 규제로 분유 업계를 압박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던 프랑스 분유 브랜드 듀멕스는 지난해 8월 독성 박테리아가 검출 된 이후 시장점유율이 12%에서 6%로 추락해 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했다. '안전 불감증의 나라'로 불렸던 중국이 변한 것이다.


유기농 산업

유럽에서는 싸다고 대충 팔았다간 망하기 십상이다. 유럽에도 중국과 같이 식품에 대한 안전 불감증을 유발할 만한 사건이 있었다. 지난 해 발생한 '말고기' 파동이었다. 유통업체가 판매하던 소고기 가공식품에서 말고기 성분이 검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페닐부타존이라는 성분까지 검출되면서 유럽 전 지역에 논란이 되었다. 곧 유럽 국민들은 식품에 대해 불신을 갖게 됐고, 한동안 침체를 겪던 친환경ㆍ유기농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친환경 섬유


친환경 열풍은 식품에서 그치지 않고 의류ㆍ세제ㆍ청소년용품까지 소비재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친환경 세제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가 없는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친환경 세제 시장은 연 5%씩 2016년까지 성장해 약 825억 달러(약 85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전 세계 세제 시장의 강자인 P&G의 시장점유율이 아직 20%에 육박하고 있지만, 친환경 기저귀를 내세운 세븐스제너레이션 등이 무자극 세제를 앞세워 P&G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세제 뿐만 아니라 의류도 친환경 열풍이 불고 있다. 인체에 무해한 천연섬유가 합성섬유보다 선호받고 있기 떄문이다. 미국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8명이 '100% 순면' 의류를 구매 결정의 중요 요소로 꼽고 있다고 답변했다. 응답자의 51%는 천연 섬유에 더 많은 돈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대답했다. 

이는 가격보다 안전ㆍ건강이 우선이라는 인식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업계는 의류가 신체에 더 가까운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너머 친환경적으로 생산된 것인지 따지는 단계까지 들어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 세계에는 유기농 직물 인증 'GOTS'를 받은 제조 시설의 수가 2714개였던 2011년과는 달리 2013년에는 3085개로 크게 증가했다.

친환경의 대명사, 전기자동차 또한 점점 성장하고 있다. 불과 1~2년 전까지만 해도 전기차가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은 잘 하지 않았다. 하지만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전기차가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IHS오토모티브 시장조사 업체에 따르면 2010년 7천대에 불과하던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 10만대를 넘어섰고, 올해 2014년에는 약 4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하이브리드, 클린디젤,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의 판매가 전체 자동차 판매의 5%를 넘어섰다.

전기차의 불모지였던 중국에서는 더욱 성장이 빨라 올해에는 전년 대비 183.4% 증가한 183.4%, 약 5만대가 판매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 상반기에만 중국 내 전기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48% 늘어난 2만477대를 기록했다. 하반기에는 신에너지차량 소비세 10% 면제 등의 정책을 통해 더욱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는 최근 BMW코리아에서 'i3'라 출시됐고, '쏘울EV', 'SM3 ZE', '스파크 EV' 등이 시장에 선을 보였다. 전기차의 배터리 가격이 2020년 현재 가격보다 50%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이기 때문에 점점 성장세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 기업


소비재 뿐만 아니라 산업재 분야에서도 친환경 열풍이 불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환경 법규의 강화로 친환경 페인트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데, 일반 유성 페인트와 달리 벤젠ㆍ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독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수성페인트의 사용이 늘고 있다. 수성 페인트의 사용 비율은 아직 10% 정도지만 5년 뒤 30%까지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유기농 판매량

'친환경'이 떠오르면서 이를 무기로 위기를 극복하는 기업들이 눈에 띈다. 스페인의 데님 원단 기업 '타벡스(Tavex)'는 데님 원단 분야에서 세계 1위의 점유율을 가진 기업이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에 직격탄을 맞았다. 하지만 이름바 '건강한'원단 품질을 내세워 원단 공정에서 물 소비를 최소화하여 기업을 다시 살려냈다. 원단을 염색하려면 물을 여러 번 교체해야 하지만 타벡스는 물이 염료로 변색되는 것을 막아 딱 한번만 물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산화물로 구성된 바이오세라믹스를 첨가해 인체가 원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도 출시했고, 원단 마감에 쓰이는 화학용품을 전연 마감재로 대체하기도 했다. 2009년 급락했던 매출과 영업이익은 불과 1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왔다. 2011년에는 4억7446만 유로(약 6500억원)의 매출을 올려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미국 생활용품 존슨앤존슨 역시 '친환경'을 통해 위기를 넘어섰다. 금융위기 이후 출생률이 저하되서 수요가 부진하였지만 아동ㆍ유아 용품은 소비자가 안전ㆍ친환경에 집중한다는 것을 알고 유기농 제품 라인(Aveeno Baby Organi Harvest)을 편성했다. 이 전략이 성공해서 2007~2008년 16%로 묶여 있던 미국 아동ㆍ유아용품의 시장점유율도 18%까지 올라갔다. 국내 기업 중에는 LG하우시스가 눈에 띈다. LG하우시스는 건설 경기 침체에도 오히려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어났는데, 주력 제품군들을 철저히 친환경 콘셉트에 맞춘 결과이다.

위에서 말한 기업들은 가격 경쟁을 피하고 고객들의 니즈에 맞게 혁신적인 기술, 친환경ㆍ유기농으로 승부를 본 것이다. 이전에는 추상적으로만 느껴지던 '친환경'을 직접 제품에 적용해서 제조업의 트렌드를 바꾸는 것이 기업의 성장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 사진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