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2016년 개정된 퇴직소득세 아끼는 3가지 방법

개정된 퇴직소득세 계산 방식으로 2016년부터는 퇴직급여가 많을수록 세 부담이 급격히 커진다. 하지만 개정된 계산 방식이 내년부터 일괄적으로 적용된다면 퇴직 일자 며칠 차이로 엄청난 세금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점진적으로 개정된 계산 방식의 적용 비중을 높여가기로 했다.


연봉제 전환을 통한 임원퇴직금 중간정산 금지를 2016년부터 시행하기로 하면서, 올해까지만 연봉제 전환을 통한 임원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올해 안에 처리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퇴직금 중간정산을 섣불리 조치를 취했다가는 오히려 낭패를 볼 수 있다.


퇴직금 퇴직소득세


퇴직소득세 부담이 늘어난다고 중간정산이 항상 유리한 것은 아니다. 기존에는 급여를 받으면 근로소득과 퇴직소득으로 각각 인식 됐지만 중간 정산 이후에는 급여가 모두 근로소득으로 잡힌다. 그렇게 되면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세가 퇴직소득세 보다 높기 때문에 근로자가 중간정산 이후에도 오랫동안 근무한다면 오히려 총 납부세액은 늘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총 퇴직급여가 많고 중간정산 이후 근로기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한다면 중간 정산을 고려해 볼 만하다. 반대로 총 퇴직급여가 적고 중간 정산 이후 근로기간이 길 것으로 예상한다면 중간정산이 불리할 수도 있다.


▨ 퇴직소득세 3가지의 절세요령


① 성과급을 퇴직연금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일부 기업들은 경영평가 성과급을 퇴직연금에 적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절세에 활용하면 좋다. 근로소득은 주로 15~35% 구간의 세율에 해당되지만 퇴직소득세는 통상 3~7%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즉, 성과급을 바로 받지 않고 퇴직연금에 적립하게 되면 근로소득을 내지 않고 퇴직소득세 또는 연금소득세만 내면 되기 때문에 10%포인트 이상의 절세효과를 낼 수 있다.


② 퇴직급여는 일시금보다 연금으로 받으면 유리


2015년부터는 연금 형태로 10년 이상 나눠서 받게 되면 퇴직소득세 30%를 차감해 준다. 가령 퇴직금 5억원에 대한 퇴직소득세가 7500만원이라면 일시에 받을 경우에는 7500만원을 제외한 4억2500만원을 받게 된다. 하지만 10년 이상 연금으로 나눠 받게 되면 7500만원에서 30%를 공제한 총 5250만원을 연금을 받을 때마다 분할해서 납부하면 된다. 퇴직연금은 종합소득에 합산되지 않고 퇴직소득세로 분류 과세되므로 추가적인 세부담은 없다.


③ 연금저축 퇴직연금계좌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몇 년 후 은퇴를 계획하고 있더라도 근로기간 동안 연말정산은 꼼꼼히 챙기는 게 좋다. 2015년부터는 퇴직연금 DC(근로자불입분)나 IRP에 추가로 300만원을 불입하면 7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92만4000원까지 환급이 가능하다. 이는 연 환산 수익률 13.2%에 해당하는 만큼 놓치기 아까운 부분이다. 따라서 퇴직금 수령 방법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근로자일 때 누릴 수 있는 기본적 절세 상품을 소홀히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개정된 퇴직소득세로 인해 퇴직급여에 따라 세 부담이 커진 만큼 절세 요령을 숙지하여 절감하길 바란다.